본문 바로가기

일상

우리나라 최초의 도서관은 어디일까?

728x90

글을 읽다보니 궁금해서 검색해 보았다.

먼저, 우리나라 최초의 도서관 ‘종로 도서관’ 란 글이 있다.

1920년 11월 27일에 문을 열었다. 

http://17cwd.kidnews.pa.go.kr/?gi=paper&gk=1001&nlk=55274&pk=71&psk=&page=3&sarea1=&sval=&sitem=&gi=paper&gk=1001&mn=cnews&mode=read#none

 

우리나라 최초의 도서관 ‘종로 도서관’

우리나라 최초의 도서관은 어디일까? 답은 바로 광화문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한 ‘종로 도서관’이다.

17cwd.kidnews.pa.go.kr


최초의 공공도서관은 - 부산광역시립시민도서관

120년 역사 자랑 우리나라 최초 공공도서관 …고문헌도서관 특화
부산 기네스 ② - 부산광역시립시민도서관

부산광역시립시민도서관(이하 시민도서관)은 우리나라 최초의 공공도서관이자 부산 최초의 시립도서관이다.
시민도서관은 1901년 10월 10일 부산의 일본인 전관거류지인 교서(交西) 산하정(山下町·현 용두산 아래로 추정)에 일본인 상인들의 모임인 홍도회(弘道會) 부산지부에서 개관한 `부산도서구락부(釜山圖書俱樂部)'가 모체다.

www.busan.go.kr/news/totalnews01/view?dataNo=63752

 

전체기사보기 : 다이내믹부산

부산시 인터넷뉴스 부산이야기 - 부산 시정, 경제, 취업, 문화, 관광 등 생활 도움 정보 제공

www.busan.go.kr

 

최초의 공립도서관 "남산도서관" 이란 글도 보인다. 

m.blog.naver.com/nwpaek/220220849498

1922년 10월 5일 명동의 구 한성병원 건물을 경성부립 도서관으로 개관하여, 1927년 5월 소공동의 대관정(大觀亭) 건물로 이전하고, 1945년 12월 19일 경성부립 남대문도서관으로, 1946년 9월 28일 군정법령(軍政法令)  ▲ 옛 병원(구 한성병원) 건물에 들어선 최초의 공립도서관 경성부립도서관  제106호에 의거, 경성부를 서울시로 개칭함과 동시에 이 도서관도 서울시립 남대문도서관으로 이름을 바꿨고, 1965년 1월 27일 현 남산으로 이관, 1965년 2월 13일 서울특별시시립남산도서관으로 개칭하여 현재까지 시민들에게 이용되고 있다.

 

최초의 공립도서관 “남산도서관”

영상기록 서울, 시간을 품다 85회 최초의 공립도서관 “남산도서관” 1920년대 일제의 문화통치가 불가피해...

blog.naver.com

 

[도서관, 그 사소한 역사] 일제의 '만철'은 왜 도서관을 운영했을까

1940년 4월 2일 <동아일보>는 "근대 도서관의 효시"라는 제목으로 철도도서관을 조명하는 기사를 냈다. 윤익선의 경성도서관이 1920년 11월 5일 개관했고, 이범승의 경성도서관이 1921년 9월 10일, 경성부립도서관이 1922년 10월 1일 문을 열었으니, 경성으로 국한하면 1920년 7월 21일 문을 연 철도도서관이 '근대 도서관의 효시'인 셈이다.

https://news.v.daum.net/v/20190725152100302

 

[도서관, 그 사소한 역사] 일제의 '만철'은 왜 도서관을 운영했을까

[오마이뉴스 글:백창민, 글:이혜숙] 1875년 9월 20일 운요호(雲揚號) 사건을 일으킨 일본은 이를 빌미로 1876년 2월 3일 조일수호조규(朝日修好條規), 이른바 강화도조약을 체결하여 한반도 침략의 ��

news.v.daum.net

 

이렇게 검색한 결과를 보면, 우리나라 최초의 도서관 ‘종로 도서관’ 글은 사실과 다르다.

1901년 10월 10일
최초의 공공도서관은 - 부산광역시립시민도서관

시기적으로는 부산광역시립시민도서관이 최초로 보인다.

아직까지 결론은 낸 것은 아니고, 현재까지 검색 결과로는 그렇다.
계속 좀 찾아보고 업데이트 할 예정이다.